그래픽카드

그래픽카드의 등장

 

그래픽 카드는 cpu의 명령에 따라 그래픽 작업을 전문으로 처리하고 디지털 신호를 비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모니터로 전송하는 장치입니다. 1990년대까지 그래픽카드는 3d 카드라는 이름으로 불렸습니다. 과거에는 cpu도 이러한 그래픽 작업을 수행했지만, 점차 그래픽 처리 전문 전용 장비가 도입되어 그래픽 카드로 개발되었으며 cpu는 자연스럽게 그래픽장치의 자리를 내어주어야 했습니다.

 

말했다시피 cpu도 내장 그래픽을 통해 그래픽카드가 할 수 있는 작업이 가능한데 이것은 cpu로 실행하는 것보다 수천 배는 느립니다.

 

 

 

온보드 그래픽카드와 cpu내장그래픽카드

 

온보드, 즉 머더보드에 그래픽 단위를 의미한다. 과거에는 마더보드 칩셋에 그래픽 기능이 있었지만, amd apu 라노 및 인텔 웨스트미어부터는 cpu에 통합되어서 메인보드는 단지 출력부만 담당하게 되었다. 2010년대부터는 주로rAGE 기반 es1000이 주로 사용되며 aspeed 칩셋이 사용됩니다. 이 서버 보드에는 현재 출력되는 그래픽 화면을 원격에서 볼 수 있는 ip kim 기능이 있습니다.

 

온 보드 그래픽은 머더보드에 gpu를 부착하고 램은 메인 메모리와 공유한다. 펜티엄 2, 3시에 gap 슬롯이 없는 머더보드는 그래픽 코어가 내장된 로스 브리지 칩셋 옆에 2~16mb의 전용 비디오 메모리를 별도로 탑재했다. 위의 서버에 대한 그래픽 speed ast 2020 칩세트는 8mb 전용 메모리를 갖춘 인텔의 I752(82810e)의 대표적인 예다. 온 보드 그래픽을 사용하는 컴퓨터를 보면 2gb(2,048mb), 4gb(4,096mb) ram과 함께 제공되는 온 보드 그래픽에서 사용하는 메모리 공간으로, 사용 가능한 용량은 1,920mb, 3,840mb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보인다.2013년대 780g 머더보드에 내장된 rADON hd3200 그래픽으로 성능을 향상하기 위한 단일 채널 128mb ddr3 그래픽 메모리가 있는 보드도 있었고, 옆 포트 메모리라고 불리는 저가 lp 그래픽 카드와 놀라울 정도로 성능이 비슷했다.

 

제조사

 

대표적으로 amd ,nvidia ,intel 세 제조사가있데

약간 극단적으로 표현하자면 amd는 다채로운 색상이 장점이고, nvidia는 3d 묘사가 좋고, 인텔은 취미로 그래픽을 만드는 cpu 회사입니다.

인텔의 그래픽이 성능이 떨어지는것과 비교해선 상당히 높은 시장 점유율을 가지고있는데 이것은 gpu때문이 아니라 cpu의 내장 그래픽 때문입니다. 게임용 pc보다는 사무용 pc가 월등하게 많고 사무용 pc에는 gpu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그래픽카드가 포함되지않은 pc를 사무실에선 쓰기때문에 인텔의 그래픽시장 점유율이 올라가게되어 대표적인 제조사로 인식되고있는것이죠.

 

여기까지가 그래픽에 관한 내용이였습니다. 다음엔 더 많은 정보를 가지고 돌아오겠습니다.

 

'PC 와 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롬(ROM)  (0) 2020.07.02
사운드 카드(Sound Card)  (0) 2020.07.02
인텔(intel)에 대해 알아보자  (0) 2020.06.13
램(ram)이란?  (0) 2020.06.07
AMD 라이젠 CPU에 대해  (0) 2020.06.04

 

인텔

1. Intel

 

미국에서 시작된 다국적 종합 반도체 회사.

 

CPU, 컴퓨터 관련 칩셋, 런 제품, SATA/레이드 컨트롤러, 내장 제품 그룹, 서버 및 SSD와 같은 전체 컴퓨터 기반 제품 그룹을 생산하고 수치 분석 및 데이터 처리를 위한 라이브러리 및 컴파일러를 만든다. 인텔은 보통 비메모리 반도체만 만들지만, 세계 최초의 NOR 플래시 메모리 대량생산 모델을 만드는 회사이기도 하다. 본사는 캘리포니아주 실리콘밸리 산타클라라에 위치하고 있으며 반도체 제조공장(Fab, Semiconductor Device Fabration)은 미국, 이스라엘, 아일랜드 등지에 위치하고 있으며 주력 생산기지는 오리건주 힐즈보로에 위치해 있다. 캘리포니아주 실리콘밸리에 있던 반도체 제조 공장은 이미 문을 닫았고 여러 사이트가 데이터 센터로 전환됐다.

 

1968년 7월 18일 첫 설립 당시의 이름은 N M Electronics로 두 설립자의 성을 따랐지만 그 달 말에 Intel이라는 이름으로 변경되었습니다. 통합전자제품의 약칭이지만 당시 호텔 프랜차이즈인 인텔코라는 회사가 있었기 때문에 상표를 사야 했다.

 

처음에는 주로 메모리 반도체로 만들어진 마이크로프로세서로 알려진 인텔 404를 만들었으나 1971년 처음 시장에 출시되었다. 마이크로프로세서 8086을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16비트 레지스터와 8비트 외부 버스를 갖춘 인텔 8088은 IBMIt으로 PC에 탑재되어 명성을 얻었으며, 이 시기에 만들어진 x86 명령 집합 아키텍처는 확장되어 지금까지 PC 시장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PC 산업은 대부분의 수익이 마이크로소프트와 인텔에 가고 제조업체들이 나머지를 가져가기 때문에 다중을 제거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또한 모바일 시대에 맞춰 PC 수요가 감소했고 경쟁이 매우 치열한 시장이 되었고 인텔의 수익성도 소폭 감소했다. 지금도 인텔은 수익성이 좋은 노트북에 주력하고 있으며 인텔은 CPU의 성능을 개선하지 않고 전성기 비용 개선에 주력해 기술과 프로세스를 개발하고 있다.

 

일부는 또한 서버 프로세서 시장의 대부분을 차지합니다. 처음에는 Dell이 EMC 및 HPE와 같은 서버 컴퓨터 OEM에 성능 비용을 판매하기 시작했지만, 인터넷 수요의 폭발과 기술의 발전으로 인한 안정성을 보장하면서 21세기에 주류 서버 프로세서가 되어 상대적으로 비싼 메인 프레임 및 유닉스 서버를 능가했습니다. 데이터 센터에 들어오는 다양한 서버와 안정성과 보안이 가격을 낮추기 위해 상대적으로 안정성이 부족한 서비스에 인텔 x86 서버를 가장 중요하게 사용하는 금융 서비스에도 사용하고있다.또한 구글, 오라클, 마이크로소프트, 아마존과 같은 최첨단 IT 회사의 클라우드 서비스를 위해 x86 서버를 자발적으로 생산하고 사용한다.슈퍼컴퓨터 분야는 클레이와 함께 아르곤 국립 연구소에 제공하는 오로라 슈퍼컴퓨터를 생산하고있다.

 

2. 메인보드

 

8시리즈까지 레퍼런스 보드를 판매했고 현재 경제 문제로 인해 생산을 중단했습니다. 레퍼런스보드 답게 비쌋지만 오버클럭이나 세세한부가 기능이 취약했다. 그렇지만 저가판처럼 값싼 부품으로 꽉 차 있지는 않았다.많은 사람들이 안정성을 매우 중요하게 만드는 환경에 구입했는데. 예를 들어 비즈니스 및 서버용으로 사용하고 일반 사용자가 사용하는 것은 드물었다. 문제는 마더 보드 자체에 따라 다를 수 있는 고유한 요소가 있었지만 내부 CPU 소켓에도 이유가 있기때문에 CPU만큼 신경을 써야할부분이 많은 칩셋이되었다.

 

3. 그래픽

 

인텔은 최근 20년간 1등으로 40~50% 이상의 시장 점유율을 차지해 그래픽 칩셋 시장을 지배하고 있다.

 

물론 성능이 좋아서가 아니라 기본적으로 CPU에 내장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래픽 감속기나 데스크탑 디스플레이가 3D 그래픽 가속 성능이 좋지 않아 처리를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시장 점유율을 자랑하는 이유는 이러한 기능이 필요 없는 그래픽 카드가 없는 비즈니스 및 교육용 PC 시장이 가장 큰 규모이기 때문이다. 덕분에 인텔의 그래픽 시장 점유율은 항상 1위다.

 

현재는 내장 그래픽 칩셋의 연구로 AMD, NVIDIA와 본격적으로 경쟁하고 있다 NVIDIA는 마더보드 칩셋 시장과 많은 어려움을 겪었지만, 대부분의 의견은 성능이나 드라이버 측면에서 AMD/APU에 필적할 수 없다는 것이 대중들의 평가이다.

 

'PC 와 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운드 카드(Sound Card)  (0) 2020.07.02
그래픽카드란?  (1) 2020.07.01
램(ram)이란?  (0) 2020.06.07
AMD 라이젠 CPU에 대해  (0) 2020.06.04
지포스 RTX 2060 과 GTX 1060 성능 비교 및 가격 비교  (0) 2020.05.30

1. 램(ram) 이란

 

사용자가 자유롭게 콘텐츠를 읽고 지울 수 있는 메모리 장치. 컴퓨터가 켜지는 순간부터 CPU는 램이라는 저장 장치에 저장되며, 전원이 유지되는 내내 이 기억장치에 저장이됩니다. 램은 "주 기억 장치"로 분류되며 한 번에 여러가지 일을 할 수 있기때문에 책상에 비유되곤 합니다.

 

2. RAMROM

 

ROM과 함께 컴퓨터 메인 메모리로 한자로 "주 기억 장치"라고도 합니다. RAM은 ROM과 달리 자유롭게 읽고 쓸 수 있다는 기능을 기억해야 합니다. 컴퓨터는 메모리에서 CPU에서 계산한 작업을 기록하고 읽습니다. 이해하지 못하겠다면 복잡한 계산을 할 때 공책에 풀이해 가면서 계산하는 걸 생각 하시면 됩니다. 즉, 메모리가 없으면 컴퓨터가 작동하지 않는다는 뜻입니다.  

 

램의 용량이 크면 클수록 용량과 동시에 기록하고 작동을할 수 있을수록 컴퓨터 성능이 올라가고 가격이 높아집니다.

 

2. 휘발성

 

대신 RAM은 전원이 차단 될 때 콘텐츠가 지워지는 휘발성 메모리입니다. 그러나 이것은 램에 따라 약간 다릅니다. 예를 들어, SRAM은 전원이 끊기는 즉시 데이터를 지우지만 DRAM은 전원이 끊기는 즉시 데이터를 지우는 대신 약 5분이 걸립니다. 이것은 DRAM에 일시적으로 내부에 전류를 저장하는 축전지가 들어있기때문에 액체 질소 등으로 냉각 시키면 약 1주일 동안 데이터를 저장시킬 수 있다고 합니다.

그러나 이 방법은 전원이 차단된 상태에서 데이터의 신뢰성이 보장되지 않습니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자기테이프, 플로피디스크, 하드디스크 등 보조저장장치가 등장하게 되었으며, 전원이 끊겨도 정보를 저장할 수 있게 되었다.

 

 

3. 램은 많으면 많을수록 좋다?

 

조립 컴퓨터를 맞출때는 항상 다다익램이란 말이 많이 보일텐데, 램이 부족하면 확실히 컴퓨터의 성능에서 체감이되지만 램의 용량이 많이 남을 때는 체감하기가 쉽지않다.

쉽게말해 다다익램이란 CPU나 메인보드가 어느정도 받쳐준다는 가정 하에 한번에 여러개의 프로그램을 무리없이 돌릴수 있도록 도와준다고 보면 된다. 

 

특히 윈도 비스타에서 크롬브라우저만 켜도 램을 2GB정도 부하되는데 요즘 나오는 고사양의 3D게임을 하려면 램은 약 16GB는 되야한다. 내장 그래픽 카드를 사용하는 경우 일부 시스템 메모리가 내장 그래픽에 할당되기 때문에 그래픽의 가용성이 감소하게된다. 

 

예를 들어, 4GB의 시스템 메모리에 1GB가 그래픽에 할당된 4GB 시스템의 경우 이론적 가용성은 3GB이지만, OS 보트 단계에서는 메모리에 이미 상주하는 프로세스가 있기 때문에 실제 가용성은 약 2GB 이하이다.SDRAM가 대중화된 2019년 이후 4GB 이하의 성능이 저하되어 사무실과 웹서핑컴퓨터의 경우 8GB, 게임 컴퓨터의 경우 16GB, 그래픽 제작이나 편집 시  32GB 이상의 램을 사용하는것이 바람직 하다.

 

물론 서버의 경우는 말 그대로 램이 더 많으면 많을수록 효율성이 좋다. 램이 클수록, 램이 더많을수록 처리의 속도가 빨라지니 램에 더 많은 돈을 투자하게 된다.

 

오늘은 램에대해 알려드렸습니다.

다음엔 더 좋은정보를 가지고 오겠습니다.

 

 

 

AMD

1.라이젠

라이젠은 2010년 끝없는 부진에 빠진 AMD의 메시아로 자리매김한 차세대 CPU입니다.

 

2012년 짐 켈러의 명령으로 개발된 AMD ZEN 마이크로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2017년 3월 3일 기준 엠바고 출시 후 라이젠 시리즈 1세대가 공식 발매되며 AMD사의

간판으로 자리잡은 CPU입니다.

 

2.개발 배경

 

AMD는 Bulldozer Architecture를 기반으로 하고 있는데, FX 시리즈가 경쟁적인 생산인 Intel Sandy Bridge Architecture에 의해 심하게 압박을 받았음에도, 5년 동안 HEDA(고성능 데스크톱) 시장에 제품을 출시하지 않았다. AMD는 과거에 전성기를 맞이했던 Athlon 64 및 x86-64 아키텍처를 설계한 엔지니어 Jim Keller를 재고용한 후 2012년부터 Jen 아키텍처를 개발하기 시작했습니다. 하드웨어 부문의 수석 부사장인 짐 켈러와 마크 종이 마스터는 모듈로 구성된 불도저 아키텍처의 CMA 구조보다는 전통적인 SMT 구조로 돌아가기 위해 개발되었습니다.

 

2016년 4월, AMD는 대만에서 열린 컴퓨텍스 2016행사에서 공연했는데, 제니 건축의 존재를 공개적으로 발표한 것은 처음이며, HEDA(고성능 데스크톱) 시장을 겨냥한 코드이름 정상 능선 프로세서가 2016년 4분기에 출시를 목표로 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후 2016년 8월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뜨거운 치프스 콘퍼런스는 코어당 성능을 40% 이상 끌어올려 세부 공연을 발표했다. 그리고 발사일을 2017년 1분기로 연기했다. [10] 2016년 12월 13일, AMD는 미국 텍사스 주 오스틴에서 뉴 호라이즌스 콘퍼런스를 열어 서밋 기지의 공식 발사대인 아이젠을 발표하고 5대 기능을 공식 발표했습니다.

 

3.이름

 

AMD 마케팅 담당 부사장인 존 테일러와의 인터뷰에 따르면 그는 원래 마이크로 아키텍처의 이름을 그대로 쓴 ZEN을 사용하려했지만 ZEN과 비슷한 상표가 많았기 때문에 ZEN이라는 이름을 상표 이름으로 사용 할 수 없었습니다.

 

따라서 이를 반영하지만 강력하고 기발한 상표를 찾은 결과 수평선(Horizon)에서 Ho를 뺸 Rizon이이 어원이되었다고 합니다. 다만 단어 철자가 마음에 들지않아 이리저리 바꾼결과 Rizen 이되었고 Rizen이라 쓰여지면 Risen 이라 발음할 가능성이 커 Zen과 Horizon의 의미가 살지않아 Ryzen이 되었다고합니다.

 

4.반응

 

AMD는 라이젠 발표 때부터 이번엔 다르다는 자신감을 느끼고 있었다 하지만, AMD는 10년 가까이 제대로된 제품을 만들지 못하고 불도저 같은 평이좋지않은 제품도 섞여 있었고 AMD가 현실적인 예상치를 내도 팬들은 설레발로 기대감을 높였지만, 결과는 항상 별로였던 경험에 의해 사람들은 조심스러운 태도를 가졌다.

심지어 AMD는 RYZEN 때문에 제대로 망할거라거나, AMD는 거른다는 식의 반응들도 기대와 함께 높아져갔다.

 

그러나 벤치마크와 물가 등 공식 발표일이 다가오면서도 부정적인 뜬소문이나 비현실적인 낙관적 유출은 없고 비교적 일관되고 설득력 있는 유출이 이어지고 있었으며 

인텔이 몇 년째 독주하고 있다가 CPU 분야에서 혁신 없이 계속되는 실수를 보여주자 이번에는 AMD가 다를 것 같다는 분위기가 확산하기 시작했다. 결국, 2017년 2월 22일 예약 구매 및 공식 발표가 발표되었고, 일부 공식 벤치마크가 발표되었다. 브로드웰 E 라인의 8코어 제품 라인은 가격과 실적에 압도돼 업계에 파문을 일으켰다.발표 직후, 인텔 i7-6xx/i7-7xxx의 중고매물이 너무 많이 증가하여 사용 가격이 순식간에 하락했고, 특히 고급 프로세서를 산지 얼마안된 사람들은 단체로 당황하면서 인텔 제품의 중고 가격은 순식간에 폭락하게되었습니다.

지포스 RTX 2060 vs GTX 1060 성능 비교

 

 

엔비디아에서 RTX 시리즈를 발매할 때 과연 GTX와는 어떻게 달라졌을까 궁금하신분이 

많으실텐데요

 

그래서 오늘은 시리즈중에서도 특히 많은분들이 사용하시고 사용하셨던!

RTX2060GTX1060성능 비교 해보겠습니다.

 

 

 

 

 

 

 

 

성능

먼저 아래표를 통해 RTX 2060GTX 1060 제품 상세정보부터 확인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제품 제작사마다 차이가 있습니다.)

 

 

NVIDIA 지포스 RTX 2060 

 NVIDIA 지포스 GTX 1060

CUDA 코어

1,920 개

CUDA 코어

1,280 개

트랜지스터 수

108억 개 

트랜지스터 수

44억 개 

메모리 크기

6GB

메모리 크기

6GB

메모리 대역폭

 336.0 GB/s

메모리 대역폭

 192.2 GB/s

베이스 클록

1,365 MHz

베이스 클록

1,506 MHz

부스트 클록

1,680 MHz 

부스트 클록

1,709 MHz

메모리 클록

14,000 MHz

메모리 클록

8,008  MHz

 메모리 인터페이스

192-bit

 메모리 인터페이스

192-bit

메모리 종류

 GDDR6 

메모리 종류

 GDDR5 

 

같은 60번이라고 믿을수없는 엄청난 수치의 차이가 보이실겁니다.

세월이 지나며 기술력이 엄청나게 오른것을 느낄수있습니다.

 

CUDA 코어의 개수가 640개 차이로 RTX 2060이 압승이네요

 

메모리의 종류를 보시면 RTX2060은 GDDR6 / GTX1060은 GDDR5

메모리 대역폭의 차이가 143 가량 차이가 납니다

 

계속해서

메모리 클록을 보시면 5,992 MHz 의 차로

 

RTX2060 이 GTX1060 과는 엄청난 수치의 차이를 보여주고있네요

 

 

 

 

 

FIRESTRIKE 3DMARK 그래픽카드 점수

 

 

 

 

 

 

지포스 RTX 2060FE 6GB

 19,848

 

 

 

 

 

 

 

 지포스 GTX 1060FE 6GB

 13,070

 

 

 

3DMARK의 점수가 6,800점 정도로 엄청난 차이를 보이네요

 

 

아래는 RTX 2060과 가장많은 비교를하는 1070Ti의 3DMARK 점수입니다

 

 

지포스 GTX 1070Ti FE 8GB

20,286 

 

 

 

70번대의 Ti종류인데도 RTX2060의 3D점수가 크게 밀리지 않을정도로 잘만들어 졌습니다.

※PC의 환경에따라 차이가 있을수 있습니다.

 

다음은 프레임 비교입니다.

 

 

 

 

 

 

 

 

 

 

같은 환경에서의 프레임에서도 차이가 확실히 나타나네요

 

 

 

(아래 통계는 2019년 1080p 기준 파이어스트라이크 통계입니다.)

 

 

RTX 2060을보시면 GTX 1060 성능과는 많은 차이가있습니다

 

통계와 마찬가지로

GTX 1070보단 성능이 좋고 GTX 1070Ti보단 성능이 약간 낮다고 평가받고있죠

※통계는 참고만 해주시길 바랍니다.

 

지금까지 알려드린 정보로는 RTX 2060의 성능은 GTX 1060 보다 월등한 성능을보이며

전작 GTX 1070Ti와 가까운 성능을 보여준다는 말이죠

 

RTX 2060의 가격은 40만원 중반대를 형성하고 있으며

GTX 1060의 가격은 10만원 중반대를 형성하고 있습니다.

 

마치며 RTX 2060과 GTX 1060의 성능에대한 비교가 여러분들의

궁금증을 해소해주었다면 좋겠습니다.

 

 

시대가 지난만큼 NVIDIA에서 RTX세대를 발전한 기술력으로 정말 잘만들었다고 생각합니다.

이전 GTX가나왔을때도 호평을 받았는데 점점 그래픽카드 기술력에대해 기대를 하게되네요 

 

오늘은 지포스 RTX 2060 과 GTX 1060 성능을 비교해드렸습니다.

다음엔 더 유용한 정보를 가지고 찾아오겠습니다.

 

'PC 와 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텔(intel)에 대해 알아보자  (0) 2020.06.13
램(ram)이란?  (0) 2020.06.07
AMD 라이젠 CPU에 대해  (0) 2020.06.04
지포스 GTX 1660Ti 성능 및 GTX 1660 성능 비교  (0) 2020.05.30
PC 부품 호환성 체크 사이트  (0) 2020.05.28

 

 

지포스 GTX 1660Ti 성능과 GTX 1660과의 비교

 

지포스 GTX 1660Ti는 2019년 2월 22일 출시 제품으로 GTX 1000번대 모델의 다음세대 그래픽카드로

RTX 세대 그래픽카드와는 다른 분류로 취급됩니다.

 

지금부터 GTX 1660Ti 그래픽카드의 성능과 함께

GTX 1660 그래픽카드와 성능을 비교해보겠습니다.

 

 

 

 

 

 

성능

먼저 아래표를 통해 GTX 1660Ti 제품 상세정보부터 확인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제품 제작사마다 차이가 있습니다.)

 

 

NVIDIA 지포스 GTX 1660Ti 

GPU

 TU116-400-A1

(풀칩)

 텐서 코어

n/a

제조공정

 12 nm FFN

 RT 코어

n/a 

 트랜지스터 수

66억 개 

TDP(설계 전력)

120W

 크기

 284㎟

 메모리 크기

6GB

 베이스 클록

1,500 MHz

 메모리 대역폭

288.0 GB/s 

 부스트 클록

1,770 MHz 

 메모리 인터페이스

192-bit  

 메모리 클록

12,000  MHz

 메모리 크기

6GB

 CUDA 코어

1,536 개 

 출력 포트 구성

1x HDMI, 3x DP 

또는

1x DVI, 1x HDMI, 1x dp 

 메모리 종류

 GDDR6 

그래픽 카드에 있어서 유의해서 보실점은 역시 

CUDA 코어의 개수와 메모리 종류입니다.

 

 

CUDA 코어

 

화면에 보여지는 영상을 처리하는 일꾼으로 개수가 많을수록 3D 그래픽 처리속도가 빨라집니다

3D 게임을 주로하는 요즘엔 그래픽카드에서 아주 중요한 요소라고 볼수있겠죠?

(AMD 라데온에서는 '스트림 프로세서'라고 부릅니다.)

 

 

메모리의 종류

 

GTX 1000번대에서는 GDDR5 메모리를 사용했습니다.

하지만 GTX 1650~60에서는 일부, RTX 세대부터는 GDDR6 메모리를 사용하게 되어

메모리의 대역폭이 30%가량 상승하는 큰차이를 보였습니다.

 

 

 

계속해서 아래의 표는 지포스 GTX 1660Ti 와 GTX 1660 의 비교표입니다.

 

 

 

 

마찬가지로 위 에서 알려드렸듯 CUDA 코어메모리를 잘 봐주시면

 

CUDA 코어의 개수는 128개

 

GDDR6 메모리와 GRRD5 메모리의 대역폭 차이가 96개 차이로

 

GTX 1660Ti가 더 높은 수치를 나타내고있습니다.

 

 

 

(아래 통계는 2019년 1080p 기준 파이어스트라이크 통계입니다.)

 

 

위의 통계는 1080p 기준의 파이어스트라이크 3D 성능테스트로 

 

GTX 1660 Ti는 이전 세대의 모델 GTX 1060 6G GTX 1070 사이 성능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통계는 참고만 해주시길 바랍니다.

 

 

 

오늘 알려드린 지포스 GTX 1660Ti RTX세대의 고가의 모델이 부담스러운 분들에게 추천하는 중급형 모델입니다.

 

요즘처럼 3D게임을 많이하는 시대엔 고가의 그래픽카드를 많이 필요로하는데 

GTX 1660Ti는 RTX 2060의 반정도되는 가격으로 GTX 1070수준의 성능을 보여주는 

중급형 그래픽카드로 가격의 부담이 있으신분들은 사용을 고려하는것도 좋아보이네요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알려드린 정보가 유용하게 사용되었으면 좋겠고 다음엔 더 좋은 정보를 가지고 돌아오겠습니다.

 

 

 

 

'PC 와 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텔(intel)에 대해 알아보자  (0) 2020.06.13
램(ram)이란?  (0) 2020.06.07
AMD 라이젠 CPU에 대해  (0) 2020.06.04
지포스 RTX 2060 과 GTX 1060 성능 비교 및 가격 비교  (0) 2020.05.30
PC 부품 호환성 체크 사이트  (0) 2020.05.28

+ Recent posts